728x90 반응형 행동경제학6 넛지-듣는 이의 관점에서 고민하라 넛지-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 넛지(nudge)는 원래 '옆구리를 슬쩍 찌른다. '는 뜻으로 누군가의 강요가 아닌 자연스러운 상황을 만들어 사람들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 2016년 영국은 선거 결과에 따라 65년만에 연립정부가 구성되었고 정부 예산의 효율적인 예산 사용을 위해 행동과학통찰팀(BIT)이 결성되었습니다. 행동경제학 실험결과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의지! - 과태료 미납자 줄이기 - 의료 처방전 오류 줄이기 - 투표율 제고 - 직업 안내소를 통한 취업 개선 - 교통사고 줄이기 - 퇴직자 연금 프록램 선택시 올바른 선택 유도하기 현재 조직은 싱가포르, 미국, 호중 등에 지사를 둔 거대조직으로 탈바꿈 하였습니다. 2018년 기준으로 약 500건 .. 2024. 1. 29. 프레이밍 효과와 기업 사례 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는 동일한 사안이라도 제시되는 방법에 따라 그 상황에 대한 인식과 의사결정, 결과가 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구조화 효과' 또는 '틀짜기 효과'라고도 합니다. 프레이밍 효과는 '사진을 찍을 때 화면의 구도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이기도 합니다. 프레이밍 효과는 인지 편향으로, 사람들이 옵션이 긍정적인 의미로 제시되는지 부정적인 의모로 제시되는지에 따라 옵션 사이를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상황에서 긍정적인 표현을 사용할 경우 확실한 대안을 선호하고, 부정적인 언어로 표현하면 불확실한 대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가 어떠한 틀을 가지고 전달하는지에 따라 사람들의 행동과 선호가 변화합니다. 예를 들어 잘팔리는 물건의 가격을 올리.. 2024. 1. 28. 기업의 미래를 선도하는 행동경제학 기업에서 행동경제학을 도입하는 이유 1. 기업 조직 -조직 내 구성원의 행동 변화를 유도 - 전통적인 신입사원 교육프로그램은 회사PR이였으나 신입사원의 잠재력이나 신입사원의 발전을 위한 기회 등에 초점을 맞춤 - 이러한 교육의 효과로 신입사원의 충성도는 33%증가 2. 마케팅 3. 사회공헌 넛지- 정부에서 국민을 위한 공공기업에서 많은 개입으로 성공을 거움 넛지(Nudge)는 행동경제학, 정치 이론, 행동과학의 개념으로 개인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말합니다. 넛지는 사람들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부드럽게 유도하되, 선택의 자유는 여전히 개인에게 열어두는 상태를 뜻합니다 빅테크 기업, 플랫폼 기업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 소프트등 IT, 온라인 기업 - 실험에 유리한 많은 고객 데이터를 보유.. 2024. 1. 23. 행동경제학의 세가지 핵심 용어 이해하기 행동경제학은 심리적, 감정적 요인이 경제적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합니다. 행동경제학의 세 가지 핵심 용어, 즉 '휴리스틱(Heuristics)', '편향(Bias)', '효과(Effect)'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휴리스틱 (Heuristics) 휴리스틱은 합리적인 판단이 어려운 상황에서 또는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빠르게 결정하는 직관적인 방식을 나타냅니다. 이는 유용할 수도 있고 편견적일 수도 있습니다. 1) 가용성 휴리스틱 (Availability Heuristic) 기억을 기반으로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휴리스틱입니다. 사람들은 쉽게 떠오르는 사례가 전반적으로 대표적이라고 가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시:*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사람이 뇌졸.. 2024. 1. 22. 인문학 분야 인문학 종류 철학 (Philosophy): 인간의 존재, 이치, 지식, 도덕 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는 학문입니다. 문학 (Literature): 언어를 통해 창작된 작품을 연구하며, 소설, 시, 극 등이 포함됩니다. 역사학 (History): 과거의 사건과 인류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합니다. 언어학 (Linguistics): 언어를 연구하며, 언어의 기원, 발전, 사용 및 의미 등을 다룹니다. 종교학 (Religious Studies): 다양한 종교와 신앙 체계를 연구하며, 종교의 역사, 신화, 의식 등을 다룹니다. 미술사 (Art History): 미술 작품의 발전과 역사, 예술가들의 작품과 스타일을 연구합니다. 심리학 (Psychology): 인간의 행동, 사.. 2024. 1. 20. 소비자들은 이성적이지 않다 - 합리성과 이기심사이에서 행동경제학 행동경제학은 경제학의 한 분야로서, 인간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대한 심리학적, 사회학적 측면을 강조하는 학문입니다. 이 분야는 전통적인 경제학의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현실에서의 인간 행동을 더 잘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 행동심리학, 심리학, 뇌과학, 사회학 등과의 융합을 추구합니다. 행동경제학은 개인이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리는지, 왜 불확실한 환경에서 특정 선택을 하는지 등에 관한 연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연구결과는 정책 수립이나 비즈니스 전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행동경제학에서의 합리적 인간 행동경제학에서 '합리적인간'은 전통적인 경제학의 합리적 선택 이론을 비판하고, 인간행동의 비합리적인 측면을 탐구하는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전통적인 경제학에서의.. 2024. 1. 2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