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X Design/Human

넛지-듣는 이의 관점에서 고민하라

by supernova52 2024. 1. 29.
728x90
반응형

넛지-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


넛지(nudge)는 원래 '옆구리를 슬쩍 찌른다. '는 뜻으로 누군가의 강요가 아닌 자연스러운 상황을 만들어 사람들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

 

 

2016년 영국은 선거 결과에 따라 65년만에 연립정부가 구성되었고

정부 예산의 효율적인 예산 사용을 위해 행동과학통찰팀(BIT)이 결성되었습니다.

 

행동경제학 실험결과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의지!

- 과태료 미납자 줄이기

- 의료 처방전 오류 줄이기

- 투표율 제고

- 직업 안내소를 통한 취업 개선

- 교통사고 줄이기

- 퇴직자 연금 프록램 선택시 올바른 선택 유도하기

현재 조직은 싱가포르, 미국, 호중 등에 지사를 둔 거대조직으로 탈바꿈 하였습니다.

 

2018년 기준으로 약 500건 이상의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각국의 정책에 영향을 주었다고 합니다.

 

정부가 넛지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분야는 어디일까요?

1. 보건 복지

- 영국 : 응급실 방문 개선, 장기기증 장려, 진통제 남용 줄이기

- 덴마크 : 흡연구역에서 흡연 유도

- 멕시코 : 비만 감소 캠페인

- 케냐 : 에이즈약 복용증가

- 인도 : 예방접종 확대

 

2. 환경 분야

- 캘리포니아 : 300가구대상으로 에너지 절약 캠페인 진행-이웃 에너지 소비량을 함께 통보

  이웃의 소비량을 알게 된 후에는 에너지 사용량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 미국 : 유해화학물질 매출에 대한 공개 제도-유해화학물질을 보관하거나 배출량을 미국 정부 공식 웹사이트에 공개함으       로써 행동 변화를 가지고 왔습니다.이처럼 평판에 대한 두려움으로 규제나 벌금없이 핸동변화를 이끌어내었습니다.

 

3. 금융 분야

2008년 세계적인 금융위기 이후 금융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어떻게 해야 금융상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까? 에 대해 실험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정부와 기업의 협업 프로젝트

네슬레&멕시코

2014년도 창립 150주년을 맞은 네슬레가 비만의 주범으로 낙인찍힌 회사 이미지를 변신하고자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비만문제 해결을 다짐합니다.

부모+선생님+정부+소매업체까지 협력하게 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멕시코인 행동 개선 프로젝트" TV 프로그램을 제작하게 됩니다.

 

- 성장그릇 : 어린이들이 어른들의 양을 먹는것을 보고 성장 단계에 맞는 양을 알려주는 1인분의 양을 그릇에 그림

- 팔씨름 쥬스제조기 : 멕시코에선 채소를 먹는것이 허약함을 나타내는 관습이 있었는데 그 관습을 타파하기 위해 팔씨름을 하며 쥬스를 만드는 제조기를 만듬

 

처음부터 끝까지 행동학자들이 참여하여 행동을 변화시켰다고 합니다.

 


기술의 발달로 비대면 소통이 가능한 시대로 네트워크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분석도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념과 일관된 증거만을 골라서 받아들이거나 혹은 헷갈리는 증거를 봤을때는 왜곡해서 받아들이는 편향을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인간은 확증편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간에 대해서 알고리즘이 발달한, 그러한 기업들이 주는 유사한 정보와 증거들 이러한 것들을 온라인에서 학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확증편향이 점점 심화되고 있습니다. 점차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융합되지고 있습니다. 이런 세상을 메타버스라고 합니다.

과연 메타버스의 세상에선 인간의 행동은 어떻게 변화하고 무엇의 영향을 받을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