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X Design/Human

기업의 미래를 선도하는 행동경제학

by supernova52 2024. 1. 23.
728x90
반응형

기업에서 행동경제학을 도입하는 이유

 

1. 기업 조직 -조직 내 구성원의 행동 변화를 유도

- 전통적인 신입사원 교육프로그램은 회사PR이였으나 신입사원의 잠재력이나 신입사원의 발전을 위한 기회 등에 초점을 맞춤

- 이러한 교육의 효과로 신입사원의 충성도는 33%증가

 

2. 마케팅

3. 사회공헌

넛지- 정부에서 국민을 위한 공공기업에서 많은 개입으로 성공을 거움

넛지(Nudge)는 행동경제학, 정치 이론, 행동과학의 개념으로 개인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말합니다. 
넛지는 사람들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부드럽게 유도하되, 선택의 자유는 여전히 개인에게 열어두는 상태를 뜻합니다

 

 

빅테크 기업, 플랫폼 기업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 소프트등 IT, 온라인 기업

- 실험에 유리한 많은 고객 데이터를 보유=많은 실험 참가자들을 확보하고 있다고 볼수 있음

- 조건에 따른 고객의 행동 변화를 쉽게 관찰할수 있음

- 메뉴의 위치, 웹사이트의 색, UI변경에 따라 온라인 사용자들의 반응을 추적함.

- 많은 기업들이 의사결정자를 경제학자나 데이터 분석가를 많이 채용하고 있음.

 

야후 마리사 메이어

 

고객데이터확보, 고객행동관찰, 실험용이

기업들은 일부 행동경제학 

기업목적에 맞는 행동 실험 필요

결과로 승부하는 전문가가 필요


행동경제학과 일반경제학의 비교
- 일반경제학의 경우 기존 데이터+데이터수집한 후 분석한 결과
- 행동경제학의 경우 실제로 *실험을 진행하고 실험에서 생성된 데이터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침

*RCT(무작위통제실험) : 실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로 나눠 실험한 뒤 비교하는 방식
- 무작위로 나누는 이유는 실험 설계자가 기준을 가지고 나눈다면 오류가 나올 수도 있음
- 두 집단 중 한 집단을 다른 상황으로 만들어 다른 조건에서 사람들의 행동이 어떻게 다르고 생각이 어떻게 다른지 관찰하여 데이터로 남김

- 데이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다면 새로운 결론을 도출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