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연구논문 길잡이]1.2 연구란
1부 디자인 연구의 이해
디자인 연구와 창작 잡업은 상호보완적이며 모두 창의적 영감이 중요하다.
디자인과 연구의 개념을 이해하고 디자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특성을 알아본다.
https://supernova52.tistory.com/310
1.1 디자인이란(디자인 연구논문 길잡이)
1부 디자인 연구의 이해디자인 연구와 창작 잡업은 상호보완적이며 모두 창의적 영감이 중요하다.디자인과 연구의 개념을 이해하고 디자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특성을 알아본다. 1.1 디자
supernova52.tistory.com
1.2 연구란
1) 어원
- 영어로 research 중세 프랑스어recherche:무언가 반복하여 찾다. 무엇인가 찾는 것을 시도하다.
- 연구는 밝히고 싶은 궁금한 것의 질문에서 출발하며, 질문의 답을 탐색하는 학습과정
연구란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을 새롭게 밝히거나 개척하는 활동이다.
- 연구는 지식을 탐구하는 인간의 활동이며, 세상의 여러측면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었거나 이미 존재하던 지식의 발견, 해석, 정정, 재확인 등에 초점을 맞추는 체계적인 조사를 일컫는 말이다.
- 연구는 일반적으로 관찰부터 시작하여 가설 설정과 자료 수집 등을 거쳐 최종 결론을 도출해 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 연구를 학문으로 정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참임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반증주의로 유명한 카를포퍼 1934)
*반증주의(反證主義)란 가설이나 이론은 관찰이나 실험에 의해 지속적인 확인을 받게 되며 반증된 가설이나 이론은 더 우수한 가설이나 이론으로 대체되어 과학이 발전한다는 과학관이다. 반증주의자들은 가설은 반증 가능성이 높을수록 더 큰 의미를 지니며, 가설은 반증 시도를 극복하면서 발전되어 점점 더 우수해 진다고 주장한다. 어떤 가설이 '반증가능하다'는 것이 그 가설이 틀리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대신 만약 가설이 틀렸다면 어떤 관찰이나 실험을 통해 그 가설이 틀렸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연구는 현상을 이해하고 인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정보를 만드는 일이며, 논문은 이러한 정보를 전달이 가능한 지식으로 기술하고 축적한 결과물이다.
2) 연구 유형
- 과학적 연구 : 자연이나 사회의 이치를 규명하고 거기서 법칙을 찾는 체계적인 활동
. 인간을 둘러싼 자연계와 사회계 현상을 경험적으로 접근하거나 보편적 법칙에서 특정한 법칙을 발견하는 방법으로 진행
. 과학적 방법의 응용, 호기심의 이용, 아이디어의 논리적 적용이 중심
. 원리나 법칙에서 추론하거나, 관찰에서 출발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자료 수집, 분석을 통해 결론에 이르는 방법, 이를 기반으로 변형되거나 혼합된 방법을 활용.
- 인문학적 연구 : 해석학, 기호학 등 상대적 인식 방법에 기반한 연구로써 인간과 인간의 근원적 문제, 인간의 사상과 학문을 탐구하는 활동
.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학문
. 분석적, 비판적, *사변적 방법으로 폭넓게 접근
*사변
생각으로 사물의 옳고 그름을 가려냄.
철학 경험에 의하지 않고 순수한 논리적 사고만으로 현실 또는 사물을 인식하려는 일. 직관적 인식이나 지적 직관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 인간의 본질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문제와 관련배경, 세부사항을 탐색하는 방법으로 접근
- 예술적 연구 : 사회과학, 교육학을 중심으로 예술의 표현적, 심미적, 감성적 특성을 사회나 교육에서의 현상과 행동 이해에 활용하려는 예술기반 연구방법(Arts-based Research)을 기반으로 한다. 예술을 활용해 인식의 지평을 넓혀가는 새로운 연구방법
. 플라톤의 이데아관점에서 예술은 이상 세계를 모방한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학문으로 간주 하지 않았다.
. 르네상스를 거치면서 정신적 노력이 필요한 인문학적 기예로 인식되어 회화나 조각도 인문학 범주에 들어오게 되었다.
. 예술적 연구는 예술적 실천으로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 낸다. 예술적 연구는 미학적, 인식론적, 윤리적, 정치적, 사회적 내용을 이해하는 열쇠로 제공한다, 연구 결과는 예술 작품과 텍스트 기반 메타적 성찰(Text-based Meta-reflections)의 공유되며, 종종 다른 분야와 협력하여 예술이 더 광범위한 문제에 대한 지식을 높히는데 기여한다(스쿨오브댄스앤서커스)
3) 연구의 역할
- 기술적(Descriptive) 연구
. 인간, 사회 및 자연현상을 있는 그대로 설명하거나 관련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
. 행동을 관찰하여 인간이나 동물의 심리를 연구한 행동주의(Behaviorism)
- 처방적(Prescriptive)연구
. 기술적 이론을 적용하여 인간, 사회 및 자연 현상과 관련된 실질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
. 예를 들어 바람직한 행동을 형성하거나 개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동주의 이론을 적용하여 적절한 교육방법을 모색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