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코리아 2024] 네번째 키워드 - 버라이어티 가격 전략
제본스의 일물일가의 법칙- 한 물건에는 한 개의 가격밖에 있을 수 없음을 주장
가격을 어떻게 책정할까?
# 시간이 가격 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가격 정보를 비밀로 함으로써 고객이 신뢰를 유지함
스키밍
- 애플:이전에 출시한 제품을 할인해서 가격을 버라이어티하게 만듦
- 기다리면 무료 웹툰: 일주일 기다리면 무료지만, 그전에 보고 싶으면 돈을 내야함
# 채널- 같은 상품을 어디서 파느냐에 따라 가격 차이가 많이 난다.
- 가격비교서비스 확대
- D2C 공식 홈페이지에서 바로 판매하는 채널 증가
- 특정 고객에게 할인을 제공하는 고객 버라이어티 전략
- 구독 서비스: 신규 고객에게 할인을 제공해, 구독서비스를 늘리려는 전략
이용률이 떨어지는 고객에게 쿠폰을 제공하는 전략
# 옵션 버라이어티- 소비자의 선택권을 확장(Unbundling)
- 골프장에서 캐디, 리셉션 카운터, 그늘집, 락커, 샤워룸을 선택 옵션으로 제공함
- 핵심 가치를 유지하면서 기본가격을 저렴하게 낮춰야 한다.
경제학에선 다이내믹 프라이싱이라고 함
아마존에선 하루에 20만번 바뀐다고 함
지불용의-고객이 얼마까지 지불할수 있느냐를 파악하는것이 중요
- 온라인 쇼핑이 늘어서 쿠킹을 인공지능이 분석
- 정보의 축적:구매기록을 분석해 새로운 가격을 실시간으로 결정함.
- 인플레이션이 증가(스마트한 가격인상이 필요)
- 새로운 상품의 출현으로 가격결정에 대한 고민 증가
소비자 잉여 - 어떤 상품 에 대해 소비자가 생각하는 수요가격에서 실제 시장가격을 뺀 차액
효용의 차별은 어디서 오는가?
- 지불의사가격을 과거에는 예측하기 어려웠음
- 고객의 지불용이를 분석할수 있다
- 엔씨다이노스 티켓- AI가 티켓값을 결정해 85가지 가격이 있음
게임에선 즐거운 경험의 연장선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할인가를 제시하는 전략
내가 가치를 느낀다면, 가격을 더 지불할 용의가 있다
구독경제
구독 상품의 첫 회 가격을 책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비자에게 불리한 정책인가?
여러 가격을 정한다는것은 소비자 잉여를 줄인다는 것- 소비자에게 도움이 되는 키워드인가?
가격을 잘 책정하면 소비자와 기업이 함께 윈윈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