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Design/Trend

[트렌드코리아 2024] 세번째 키워드 - 육각형 인간

supernova52 2023. 12. 21. 18:01
728x90
반응형

육각형인간 - 결점없이 모든점이 완벽한 인간

헥사곤 그래프

 

- 육각형 인간에 대한 선망이 높아지고 있다

- 노력으로 성취가 안되는 것에 대한 선호가 증가

- 과거에는 어려운 집안에서 고생 끝에 성공을 이룬 스토리를 선호했으나 최근에는 좋은 집아, 성격, 능력, 학업을 처움부터 다 가진 인물을 선호함

- 외모에 대한 관심있는 남자들

- 비교할때 수치화하여 표현

(좋아하는 아이돌마저도 서열따짐) 

- 그중 제일은 돈돈돈

 

현대사회는 사회적 완벽주의를 추구한다

- 소셜미디어를 통해 완벽한 사람을 보고 비교하기 시작

- 소셜미디어 세상은 만인 대 만인의 비교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성장서사가 무너지는 것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 성장의 속도가 정체된 대한민국에서 개인이 노력해서 무언가를 이루기 힘든 사회가 됨

 

육각형 인간 선호는 기업에게 어떤 점을 시사하는가?

- 고객은 육각형 브랜드를 선호한다.

- 개인의 가치관과 기업 브랜드의 철학이 일치하는 것을 중시

- 기업활동과 앰버서더가 누군지 중요

 

 

육각형 인간은 우리사회와 젊은 세대가 가진 여러가지 문제점과 희망, 놀이를 담고 있는 키워드이다.

상대적 열등감에 빠지기 쉬움... 나다운게 무엇인가에 대해 많이 생각할 필요가 있음..


사회의 구조적인 변화를 반영하는 유행어

 

육각형 인간 단어의 유래

- 완벽한 모습의 사람을 선호하는 경향 증가

- 노력으로 갖지 못하는 것을 선망한다.

- 우리사회가 노력하면 된다는 희망이 있었으나 현재는 노력으로 안된다는 인식

- 사회의 빈부격차가 커지며 사다리가 무너지고 있다.

 

인간은 비교하는 동물

- 과거엔 만나는 한정된 사람과 비교하거나 티비속 인물과 비교했으나 현재는 전세계의 비슷한 또래와 라이프 스타일을 비교함.

 

728x90
반응형